목록상관계수 (3)
공부하는 블로그

해당 글은 숙명여자대학교 여인권 교수님의 K-MOOC 통계학의 이해Ⅰ(2019.05.01~2019.08.03) 강의를 수강하며 복습 및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. 추가적으로 여인권 교수님의 통계학 기본개념과 원리 2판을 참고하였습니다. K-MOOC 사이트 링크 공유합니다. 학습목표 두개 이상의 확률변수에 대한 기댓값 계산 방법을 알아본다. 두 변수의 직선관계 정도를 나타내는 공분산과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독립일 때 이들 값이 0인 것을 보인다. 두 변수의 선형결합과 관련된 평균과 분산의 성질에 대해 알아본다. 기댓값 기댓값은 확률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에 해당 확률을 곱하여 다 더한 것으로 정의했음 두 확률변수의 기댓값은 정의된 기댓값과 마찬가지로 이들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에 해당 확률, 즉 결합..

해당 글은 숙명여자대학교 여인권 교수님의 K-MOOC 통계학의 이해Ⅰ(2019.05.01~2019.08.03) 강의를 수강하며 복습 및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. K-MOOC 사이트 링크 공유합니다. 과제 과제1 타이타닉호 예제를 실습에서는 생존율을 분석했다. 과제에서는 사망률을 분석해라 # 과제1 # 타이타닉호 에제에서 생존율 대신 사망률을 이용해서 정리하기 titanic

해당 글은 숙명여자대학교 여인권 교수님의 K-MOOC 통계학의 이해Ⅰ(2019.05.01~2019.08.03) 강의를 수강하며 복습 및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. 추가적으로 여인권 교수님의 통계학 기본개념과 원리 2판을 참고하였습니다. K-MOOC 사이트 링크 공유합니다. 학습목표 두 수치자료의 직선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통계값을 알아본다. 공분산과 상관계수 산점도 : 두 수치변수 간에 관계가 잇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 두 수치변수 간에 직선관계가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통계값 자료표시: 왼쪽 그림은 양의 기울기를 갖는 선분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. 오른쪽 그림은 음의 기울기를 갖는 선분을 중심으로 분포가 되어 있다. 해당 그림에서 x축 또는 y축의 값에 임의의 숫자를 더하거나 빼더라도 형태는 변..